한국딥러닝, 경기도청 AI 플랫폼 구축사업에 ‘딥 파서’ 공급

엠티데이타
2025-08-27 08:25
57
0
-
22회 연결
본문
[아이티데일리] 한국딥러닝(대표 김지현)은 경기도청의 ‘2025년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사업’에 비전 언어모델(VLM) 기반 문서 구조 분석 솔루션 ‘딥 파서(DEEP Parser)’를 공급했다고 26일 밝혔다.
이번 사업은 총 131억 원 규모로 전국 광역지자체 행정업무에 생성형 AI 기술을 본격 적용하고자 진행된다. 경기도청은 이를 통해 문서 작성, 회의 관리, 정보 검색 등 실무 중심의 AI 업무 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.
한국딥러닝이 경기도청의 '2025년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사업'에 ‘딥 파서’를 공급했다.
이번 사업의 핵심은 경기도청 문서의 90% 이상을 차지하는 HWP, PDF 등 AI가 직접 활용하기 어려운 문서 형식을 구조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. 이를 위해 딥 파서는 행정문서·정책자료 등을 정확히 디지털화하고 구조화해 업무 기반 데이터를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.
딥 파서는 기존 OCR 솔루션과 달리 문서의 의미와 구조를 동시에 분석한다. 표, 차트, 계층구조, 병합 셀까지 정밀 인식하고, AI 에이전트가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.
이를 통해 사용자는 △HWP, PDF 등 비정형 문서의 정밀 디지털화 및 구조화 △정책 문서·보고서의 정보 추출 및 정제 △회의록의 문단 요약과 주요 키포인트 자동 추출 △공무원 대상 문서 검색·질의응답 AI 서비스 등이 가능해진다.
딥 파서는 한국딥러닝이 지난 5년간 대규모의 텍스트·이미지 문서를 학습한 자체 VLM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됐다. 별도의 데이터 수집이나 라벨링 없이도 다양한 문서 유형을 즉시 처리할 수 있는 ‘도큐먼트 AI(Document AI)’로 초기 도입 부담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.
한국딥러닝 김지현 대표는 “경기도청 생성형 AI 플랫폼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어 의미가 크다”며 “딥 파서의 문서 구조 분석 기술은 단 순한 문서 인식을 넘어 AI가 진정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핵심이다. 앞으로도 생성형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겠다”고 말했다.
출처 : 아이티데일리(http://www.itdaily.kr)
이번 사업은 총 131억 원 규모로 전국 광역지자체 행정업무에 생성형 AI 기술을 본격 적용하고자 진행된다. 경기도청은 이를 통해 문서 작성, 회의 관리, 정보 검색 등 실무 중심의 AI 업무 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.
한국딥러닝이 경기도청의 '2025년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사업'에 ‘딥 파서’를 공급했다.
이번 사업의 핵심은 경기도청 문서의 90% 이상을 차지하는 HWP, PDF 등 AI가 직접 활용하기 어려운 문서 형식을 구조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. 이를 위해 딥 파서는 행정문서·정책자료 등을 정확히 디지털화하고 구조화해 업무 기반 데이터를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.
딥 파서는 기존 OCR 솔루션과 달리 문서의 의미와 구조를 동시에 분석한다. 표, 차트, 계층구조, 병합 셀까지 정밀 인식하고, AI 에이전트가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.
이를 통해 사용자는 △HWP, PDF 등 비정형 문서의 정밀 디지털화 및 구조화 △정책 문서·보고서의 정보 추출 및 정제 △회의록의 문단 요약과 주요 키포인트 자동 추출 △공무원 대상 문서 검색·질의응답 AI 서비스 등이 가능해진다.
딥 파서는 한국딥러닝이 지난 5년간 대규모의 텍스트·이미지 문서를 학습한 자체 VLM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됐다. 별도의 데이터 수집이나 라벨링 없이도 다양한 문서 유형을 즉시 처리할 수 있는 ‘도큐먼트 AI(Document AI)’로 초기 도입 부담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.
한국딥러닝 김지현 대표는 “경기도청 생성형 AI 플랫폼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어 의미가 크다”며 “딥 파서의 문서 구조 분석 기술은 단 순한 문서 인식을 넘어 AI가 진정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핵심이다. 앞으로도 생성형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겠다”고 말했다.
출처 : 아이티데일리(http://www.itdaily.kr)
댓글목록0